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실버 3)백준 2346번 : 풍선 터트리기 (deque, utility: pair)
    백준일기장 2024. 2. 13. 16:36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2 초 4 MB 25458 10581 8568 43.468%

    문제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이 있다. 각 풍선 안에는 종이가 하나 들어있고, 종이에는 -N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 적혀있다. 이 풍선들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터뜨린다.

    우선, 제일 처음에는 1번 풍선을 터뜨린다. 다음에는 풍선 안에 있는 종이를 꺼내어 그 종이에 적혀있는 값만큼 이동하여 다음 풍선을 터뜨린다. 양수가 적혀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음수가 적혀 있을 때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할 때에는 이미 터진 풍선은 빼고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풍선 안에 차례로 3, 2, 1, -3, -1이 적혀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3이 적혀 있는 1번 풍선, -3이 적혀 있는 4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5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3번 풍선, 2가 적혀 있는 2번 풍선의 순서대로 터지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차례로 각 풍선 안의 종이에 적혀 있는 수가 주어진다. 종이에 0은 적혀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터진 풍선의 번호를 차례로 나열한다.


    내가 작성한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cstdlib>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typename T>

    class deque
    {
    private:
    int size;
    int rear;
    int front;
    T *arr;

    public:
    deque(int n)
    {
    arr = new T[n * 2 + 2];
    front = (n * 2 + 2) / 2;
    rear = front - 1;
    size = 0;
    }
    void push_front(T temp)
    {
    arr[--front] = temp;
    size++;
    }
    void push_rear(T temp)
    {
    arr[++rear] = temp;
    size++;
    }
    void pop_front()
    {
    if (size > 0)
    {
    front++;
    size--;
    }
    else
    {
    cout << "error"
    << "\n";
    }
    }
    void pop_rear()
    {
    if (size > 0)
    {
    rear--;
    size--;
    }
    else
    {
    cout << "error"
    << "\n";
    }
    }
    void show_size()
    {
    cout << size << "\n";
    }
    int empty()
    {
    if (size > 0)
    {
    return 0;
    }
    else
    {
    return 1;
    }
    }
    int return_front()
    {
    if (size > 0)
    {
    return arr[front];
    }
    else
    {
    cout << "error"
    << "\n";
    return 0;
    }
    }
    int return_rear()
    {
    if (size > 0)
    {
    return arr[rear];
    }
    else
    {
    cout << "error"
    << "\n";
    return 0;
    }
    }
    void show()
    {
    for (int i = 0; i < size; i++)
    {
    cout << arr[front + i] << " ";
    }
    cout << "\n";
    }
    ~deque()
    {
    delete[] arr;
    }
    };

    int main()
    {
    cin.tie(0);
    ios_base::sync_with_stdio(0);
    int n;
    cin >> n;
    deque<int> order_dq(100000);
    deque<int> move_dq(100000);

    for (int i = 1; i <= n; i++)
    {
    int temp;
    cin >> temp;
    move_dq.push_rear(temp);
    order_dq.push_rear(i);
    }

     
    for (int i = 0; i < n; i++){
    int move = move_dq.return_front();
    cout << order_dq.return_front() << " ";
    move_dq.pop_front();
    order_dq.pop_front();

    if (move > 0 && !order_dq.empty()){
    for (int j = 1; j < move; j++){
    order_dq.push_rear(order_dq.return_front());
    move_dq.push_rear(move_dq.return_front());
    order_dq.pop_front();
    move_dq.pop_front();
    }
    }
    else if (!order_dq.empty()){
    for (int j = 0; j > move; j--){
    order_dq.push_front(order_dq.return_rear());
    move_dq.push_front(move_dq.return_rear());
    order_dq.pop_rear();
    move_dq.pop_rear();
    }
    }
     
    }

    return 0;
    }

    이번 문제는 deque를 활용하여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나는 직접 deque를 구현하였고, 각 원소의 인덱스와 값을 저장하기 위해 2개의 deque을 생성해주었는데

    같은 알고리즘을 내장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더 쉽게 코드를 짤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deque에서 배열의 크기를 어떻게 해야될지 몰라 임의의 값을 넣어줬는데,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경우 알아서 배정해준다.

     

    수정된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utility>
    #include <dequ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sync_with_stdio(0);
    cin.tie(0);
     
    int n;
    deque<pair<int, int> > dq;
     
    cin >> n;
    for (int i = 0; i < n;i++) {
    int temp;
    cin >> temp;
    dq.push_back(make_pair(temp, i+1));
    }

    while (true) {
    int cnt = dq.front().first;
    cout << dq.front().second << " ";
    dq.pop_front();
    if (dq.empty()) break;
    if (cnt > 0) {
    for (int i = 0; i < cnt - 1;i++) {
    dq.push_back(dq.front());
    dq.pop_front();
    }
    }
    else {
    for (int i = cnt; i < 0;i++) {
    dq.push_front(dq.back());
    dq.pop_back();
    }
    }
    }
    }

    utility헤더에 내장된 pair를 활용하여 하나의 deque에 2개의 값을 넣을 수 있게 해주었다.

    pair<first, second>로 선언하고, 변수명.first/second로 각 원소에 접근한다.

Designed by Tistory.